목록algorithm (48)
devlog_owen

처음에는 if문으로 const solution = (n) => { if (n%2 !== 0) { return sort((a,b) => a-b) } } 이런식으로 오름차순 정리하려고 했는데 n을 배열로 착각했다. n 이하의 홀수를 구하는 것이 포인트인 문제였다. 나의 풀이 const solution = (n) => { const oddNumber =[] for (i=1; i
1주차: 기초 문법 문자열 길이 // 입력받은 문자열의 길이를 구해서 result 값이 아래와 같이 출력되도록 함수를 완성해 보세요. function getLengthOfString(str) { // 이 부분에 코드를 작성하세요. } const result = getLengthOfString("abcde"); console.log(result); // 출력 결과: 5 나의 풀이 // 입력받은 문자열의 길이를 구해서 result 값이 아래와 같이 출력되도록 함수를 완성해 보세요. function getLengthOfString(str) { return str.length } const result = getLengthOfString("abcde"); console.log(result); // 출력 결과: ..

내가 쓴 풀이 function solution(numbers) { const sum = numbers.reduce((a,b) => a+b,0) return(sum/numbers.length); } reduce 메서드를 쓰는게 관건인 문제같다. 마지막에 리턴을 안하고 console.log로 하느라 헤맸다. 다른사람 풀이 function solution(numbers) { var answer = numbers.reduce((a,b) => a+b, 0) / numbers.length; return answer; } 내 풀이와 비슷하다. 이게 좀더 깔끔한 거 같다.

나의 풀이 function solution(slice, n) { if (n%slice!==0){ return Math.ceil(n/slice) } else { return Math.ceil(n/slice) } } 뭔가 IF...ELSE...로 똑같은 값을 리턴하는게 나 이번에도 뭔가 빠가사리 짓한거같다고 생각했다. 다른사람의 풀이 function solution(slice, n) { return Math.ceil(n / slice) }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이리 간단하게 풀면 되는 일이였는데.

나의 풀이 const solution = (n) => { if (n%7===0) { return (n/7); }else { return (Math.ceil(n/7)); } } 다른사람의 풀이 function solution(n) { return Math.ceil(n / 7) } 그냥 멍청이 인증. 사실 Math.ceil() 함수를 처음 배웠는데 입력받은 숫자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 중 가장 작은 정수를 리턴하는 함수였다. 즉, 7로 딱 나뉘든 안나뉘든 그냥 Math.ceil() 하나로 하면 됐었다;;

1.나머지 구하기 풀이 const solution = (num1,num2) => { return num1%num2 } 지난 문제에 비해 너무 쉬워서 당황쓰;; const solution = (num1, num2) => num1 % num2 걍 단일문으로 했으면 됐는데.. 2.중앙값 구하기 function solution(array) { return array.sort((a, b) => a - b)[Math.floor(array.length / 2)]; } 첫번째 문제 뺴고는 다 나에게 어려웠다. 이 문제는 일단 배열을 오름차순 하고 중앙값을 구해내야한다. 오름차순은 array.sort((a, b) => a - b)로 a-b가 요소들의 값을 비교하며 정렬해준다. [Math.floor(array.length..

1.두수의 나눗셈 1)내가 쓴 풀이 const solution = (num1,num2) => Math.floor((num1/num2)*1000) 2)남이 쓴 풀이 function solution(num1, num2) { return Math.trunc(num1 / num2 * 1000); } Math.trunc:소수점 이하의 숫자를 잘라내어 정수 부분만 남기는 연산 Math.trunc(): Math.trunc() 함수는 주어진 숫자의 소수점 아래를 버림하여 가장 가까운 작은 정수를 반환합니다. 즉, 소수점 이하를 버리고 정수 부분만을 반환합니다. 양수에 대해서는 내림이 되고, 음수에 대해서는 올림이 되지 않습니다. 예시: Math.trunc(3.14)는 3을 반환합니다. Math.trunc(-5.78)는..

1) 두수의 합 내가 쓴 정답. 처음이라 원래 써져있던 코드를 지워도 되나싶고 여러 시행착오들이 있었다. 다른 사람이 쓴 정답. 화살표함수를 쓰면 훨씬 간단한 일이었다. 두번째 풀이는 IF 조건문을 활용한 방법이었는데 사실 이렇게 코드를 쓰다가 결국 포기하고 FUNCTION문으로만 해결했다. IF문으로 두가지 조건을 같이 걸어서 변수선언문으로 마무리. 2) 두수의 차 내가 쓴 풀이. 위의 화살표함수를 그대로 적용했다. 처음에 오류가 났는데 일단 멍청하게 -인데 +를 해서 첫번째 오류가 났고 두번째는 solution 철자를 틀려서 오류가 났다. 다른사람 풀이. 위와 유사하다. 이 다음엔 이렇게 조건문 넣어서 해봐야지 3) 두수의 곱 내가 쓴 풀이. 이번에는 조건문으로 통과! 4) 몫 구하기 풀이하면서 4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