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log_owen
231129 TIL)prisma, 새로운 ORM 사용 적응기 본문
728x90
ORM (Object-Relational Mapping) 을 쓰는 이유
강의 듣고 요약정리하는게 제일 어려운 것 같다. 그래도 일단 아는대로 끄적여본다.
Prisma는 데이터베이스를 다루기 위한 ORM(Object-Relational Mapping) 라이브러리다.
ORM은 객체간의 관계를 맵핑해주는 라이브러리로 ORM을 사용하면 여러 장점이 있다.
1.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의 이점 활용
코드의 가독성을 올리고 객체지향 설계원칙을 따르기 쉽게 만들어줌
2. 유지보수 용이성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변경이나 새로운 기능 업데이트같은 유지보수 작업이 간단해짐.
3. 개발자 편의성
위의 유지보수 용이성과 관계가 있는데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는데 있어 편리한 기능들을 제공한다.
데이터베이스 테이블간 관계, 복잡한 쿼리, 데이터베이스 인덱싱 등을 쉽게 다룰 수 있게 도와줌
이러한 이유들로 많은 개발자들이 ORM을 선호하게 됨.
Prisma vs Sequelize
Prisma는 TypeScript 및 JavaScript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다양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과 통합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Prisma 역시 SQL을 직접 작성하지 않고도 데이터베이스와 상호 작용할 수 있는 강력한 쿼리 API를 제공한다.
이전 강의에서는 sequelize를 배웠는데 이번에 prisma를 배우면서 어떤 차이가 있는지 궁금해 찾아봤다.
결론은 prisma는 코드의 간결성,가독성, 현대적이고 새로운 프로젝트에서 주로 선택되고, sequelize는 전통적인 sql 스타일과 친숙하며 더 많은 설정옵션과 플러그인이 있어 확장성면에서 좋다.
728x90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1204 TIL)jsonwebtoken, express-session 이란?/수직적 확장/ 수평적 확장이란? (0) | 2023.12.05 |
---|---|
231130 TIL) 숙련강의 시청, 개인프로젝트 (0) | 2023.12.01 |
231128 TIL) 입문강의 중 할일목록 api patch 코드분석 (1) | 2023.11.29 |
231127 TIL) 팀프로젝트를 마치며 느낀점(KPT 작성), 입문강의 완강 (2) | 2023.11.27 |
231124 TIL) thunderclient,restclient로 이미지 파일 업로드하기 (1) | 2023.1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