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log_owen
컴파일언어와 인터프리터 언어의 차이란? 본문
728x90
컴파일언어, 인터프리터 언어의 차이
컴파일러 언어
- 예: C, C++
- 동작 방식:
- 컴퓨터가 C나 C++로 작성된 코드를 작성합니다.
- '컴파일러'가 이 소스 코드를 기계어로 변환하여 .obj(오브젝트) 파일로 만듭니다.
- 여러 개의 오브젝트 파일을 '링커'가 하나의 .exe 실행 파일로 결합합니다.
- 장점:
- 하나의 파일로 실행되기 때문에 실행 속도가 빠릅니다.
- 컴파일 과정에서 오류를 미리 검출할 수 있어 안정성이 높습니다.
- 단점:
- 컴파일 과정이 길고 복잡할 수 있으며, 코드 수정 후 다시 컴파일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 플랫폼에 종속적일 수 있어 다른 운영 체제에서 실행하려면 다시 컴파일해야 합니다.
인터프리터 언어
- 예: 파이썬, JavaScript
- 동작 방식:
- 소스 코드를 한 줄씩 읽고 즉시 실행합니다.
- 소스 코드를 미리 기계어로 변환하지 않고 실행할 때마다 해석합니다.
- 장점:
- 컴파일 과정이 없기 때문에 코드 수정 후 바로 실행할 수 있습니다.
- .exe 파일(실행 파일)이 존재하지 않으며, 대화형 언어로서 코드의 오류를 쉽게 수정할 수 있습니다.
- 플랫폼 독립적이기 때문에 다양한 운영 체제에서 동일한 코드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 단점:
- 한 줄씩 번역하여 실행하므로 실행 속도가 느립니다.
- 실행 중에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며, 오류가 발생하면 전체 프로그램이 중단될 수 있습니다.
728x90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류해결) remote: The project you were looking for could not be found or you don't have permission to view it. (3) | 2024.10.14 |
---|---|
git pull과 git clone의 차이/ git 명령어 정리 (0) | 2024.07.12 |
python 딕셔너리 검색 (0) | 2024.07.10 |
주석 안먹힐때(ctrl+/ 안먹힐때) (0) | 2024.07.10 |
파이썬의 f-string(f-문자열) 기능 (0) | 2024.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