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log_owen
[TIL] Redis maxmemory 설정, LRU 캐시전략 설정하기 본문
개요
프로젝트 중 redislabs로 30mb의 공짜 메모리를 겟했다. 하지만 30mb는 딱봐도 많은 사용자의 모든 캐시데이터를 저장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그래서 따로 maxmemory와 캐시삭제전략을 사용하기로 했다.
LRU vs LFU
일정 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오래된 캐시를 삭제하는 전략은 캐시 관리에서 자주 사용되는 전략 중 하나다.
이를 "LRU (Least Recently Used)" 또는 "LFU (Least Frequently Used)" 전략이라고 한다.
LRU (Least Recently Used): 이 전략은 가장 오래 전에 사용된 캐시를 삭제하는 방식이다. 최근에 사용된 캐시는 삭제하지 않고, 오랫동안 사용되지 않은 캐시부터 삭제된다.
LFU (Least Frequently Used): 이 전략은 가장 적게 사용된 캐시를 삭제하는 방식이다. 사용 빈도가 가장 낮은 캐시부터 삭제되며, 최근에 사용되었더라도 사용 빈도가 낮다면 삭제 대상이 될 수 있다.
어떤 전략을 선택할지는 상황과 요구사항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LRU 전략이 많이 사용되며, Redis에서도 해당 전략을 구현할 수 있는 몇 가지 방법이 있다.
본론-Redis 파일 설정하기
vim redis.conf
vs code에 위 명령어를 실행시킨다. 그럼 아마 redis.conf라는 파일이 생성될거다.
편집 모드로 전환하려면 i 키를 누른다.
원하는 변경 사항을 입력한다.
ex)
편집을 완료한 후에는 Esc 키를 누르면 편집모드에서 빠져나올 수 있다.
:(콜론)을 누르고 커맨드 라인에 커서가 위치하면 wq를 입력한다. 변경 사항을 저장하고 편집기를 종료하는 명령임
변경 사항을 저장하지 않고 편집기를 종료하려면 q!를 입력
엔터 키를 누르면 vim 편집기가 종료되고 터미널로 돌아갑니다.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의 f-string(f-문자열) 기능 (0) | 2024.07.09 |
---|---|
MySQL 배열로 데이터 저장하기 (+nest.js, swagger) (0) | 2024.03.05 |
[TIL]Nest can't resolve dependencies of the StorebookService 오류 해결 (0) | 2024.01.22 |
[TIL] .env 파일이 gitignore에 있는데도 푸시될때 해결법 (0) | 2024.01.19 |
[TIL] [기술면접] OAuth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0) | 2024.01.18 |